조선총독부 철도국

 




'''조선총독부 철도국'''
朝鮮總督府 鐵道局 | Chosen Government Railway
[image]
<colbgcolor=#062861> '''국가'''
일제강점기 조선
'''설립일'''
1910년 10월 1일
'''해체일'''
1945년 9월 28일
'''주무기관'''
조선총독부
'''운영 구간'''
경인선, 경부선, 경의선, 호남선, 경원선, 경전선, 전라선, 중앙선[1], 평원선, 함경선, 동해북부선, 만포선, 길혜선, 평남선, 평덕선, 함북선, 사해선, 내토선, 하성선, 황해본선
'''주소'''
경기도 경성부 용산구
(現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동)
<color=#ECCD7A> '''청사'''[2]
1. 개요
2. 역사
3. 열차 등급
3.1. 특급 아카츠키호(あかつき)
3.2. 급행 히카리호(ひかり)[3]
3.3. 급행 노조미호(のぞみ)
3.4. 급행 타이리쿠호(大陸,대륙)
3.5. 급행 코아호 (興亜,흥아)
4. 참고 자료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조선총독부 산하 행정 기구 중 하나로, 일제강점기한반도 철도를 관리하였다. 코레일의 전신이다.

2. 역사


이미 구한말 경부선, 경인선, 경의선 등 철도 부설권을 장악한 일제는 1906년 경인철도합자회사, 경부철도주식회사, 삼마철도, 경의철도 등 4개 철도회사를 국영화 후 통합해 한국통감부 산하에 철도관리국을 두기 시작했다. 1909년 12월 일본 철도원으로 조직이 이관됐다가 1910년 8월 한일합병 후 통감부가 조선총독부로 개편되면서 그리로 이관돼 '철도국'이 됐다.
1914년 환구단에 '조선철도호텔'을 설립한 후 여객/숙박사업에도 손을 뻗고 1917년에는 남만주철도에 운영을 맡겼다. 1919년 직제 개정으로 '철도부'가 되어 1925년 조선총독부 직영으로 환원되면서 '철도국'이 됐고, 1933년 청진 이북 노선을 만철에 맡기고 1943년 직제 개정으로 '교통국'이 됐으나 1945년 8.15 해방 후 미군정 수립으로 해체되어 모든 업무가 미군정청 교통국으로 이관됐다.

3. 열차 등급



3.1. 특급 아카츠키호(あかつき)


[image]
'''일등전망차 내부'''
1936년부터 경부선에서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운행구간은 부산잔교역 ~ 대구역 ~ 대전역 ~ 경성역이었다. 부관연락선을 통해 일본 본토와 연결되어 있었으며 야간 배편과 시간표를 맞추어 낮에 운행하였다. 열차 편성으로 일등차, 이등차, 삼등차, 식당차, 우편차가 존재하였으며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운영했던 가장 높은 등급이었지만 1943년 폐지되었다.

3.2. 급행 히카리호(ひかり)[4]


[image]
'''일등전망침대차 후면'''[5]
1911년 압록강철교가 완성되면서 한반도와 만주가 이어지게 되었고 경부선 - 경의선 - 만철에 걸쳐 운행하는 열차가 생기게 되었다. 부관연락선 낮 배편과 시간표를 맞추어 밤에 운행하였다. 부산잔교역 ~ 경성역 ~ 평양역 ~ 단둥역 ~ 평톈역[6] ~ 신징역[7] ~ 하얼빈 동역[8] 구간을 운행하였고, 노조미와 달리 광복 직전(1945년)까지 운행했다. 이후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에 히카리가 등장함으로서 이름이 다시 사용된다. 광복 후 일등전망침대차 1량이 대통령 특별객차로 개조되었다.

3.3. 급행 노조미호(のぞみ)


1934년부터 경부선 - 경의선 - 만철에 걸쳐 운행하였다. 부관연락선 밤 배편과 시간표를 맞추어 낮에 운행하였다. 운행 구간은 부산잔교역 ~ 경성역 ~ 평양역 ~ 단둥역 ~ 평톈역[9] ~ 신징역[10]이었으며 히카리보다 낮은 등급이었다. 1944년 폐지되었고 이후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에 노조미가 등장하므로서 이름이 다시 사용된다.

3.4. 급행 타이리쿠호(大陸,대륙)


1938년부터 경부선 - 경의선을 통해 중국 베이징까지 운행했던 열차이다. 운행 구간은 부산잔교역 ~ 경성역 ~ 평양역 ~ 단둥역 ~ 평톈역 ~ 산하이관역 ~ 베이징역(정양문 동역)이었던 국제열차이다. 부관연락선을 통해 일본과 중국 내륙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였으며 부관연락선 밤 배편과 시간표를 맞추어 낮에 운행하였다. 3국[11]에 걸쳐 운행했다. 1944년 폐지되었다.

3.5. 급행 코아호 (興亜,흥아)


1939년부터 운행되었고 타이리쿠호와 같은 운행노선이였다. 정차역은 부산잔교역 ~ 경성역 ~ 평양역 ~ 단둥역 ~ 평톈역 ~ 산하이관역 ~ 베이징역(정양문 동역)이었던 국제열차이다. 부관연락선 낮 배편과 시간표를 맞추어 밤에 운행하였다. 광복 직전(1945년)까지 운행했었다.

4. 참고 자료



5. 관련 문서


[1] 영천역 ~ 경주역 구간[2] 용산역 바로 앞에 있었다.[3] 1933년부터 붙여졌다.[4] 1933년부터 붙여졌다.[5] 열차에 "ひかり"(히카리)라고 써있다.[6] 1911년부터[7] 1934년부터[8] 1942년부터[9] 1934년부터[10] 1938년부터[11] 일제 치하 조선, 만주국, 중화민국